원인행위액외 지출액의 차이점?

2025. 1. 7. 19:55정보

반응형

1. 원인행위액이란?

  • 정의:
    원인행위액은 법적 의무 또는 계약에 따라 발생한 금액으로, 실제 지출 여부와 관계없이, 계약 체결 또는 법적 약정으로 인해 발생한 금액을 의미합니다.
    • 예: 계약 체결, 발주, 구매 요청 등에 따라 지출이 예정된 금액.
  • 특징:
    • 거래나 계약의 발생 시점에서 확정됨.
    • 실제 금액이 지출되기 전 단계에서 기록.
    • 주로 회계의 **발생주의(Accrual Basis)**에 따라 표시됩니다.
  • 예시:
    • A 회사가 1억 원 규모의 물품 구매 계약을 체결한 경우, 1억 원은 원인행위액으로 기록됩니다.
    • 하지만 물품이 아직 납품되지 않았거나, 대금이 지불되지 않았다면 실제 지출액은 없습니다.

2. 지출액이란?

  • 정의:
    지출액은 실제로 돈이 지급된 금액을 의미합니다. 계약 또는 원인행위에 의해 발생한 의무를 이행하는 과정에서 실제로 지출된 금액입니다.
  • 특징:
    • 실제 금전의 흐름이 발생한 시점에서 기록.
    • 회계의 **현금주의(Cash Basis)**에 따라 표시됩니다.
  • 예시:
    • 위의 사례에서, A 회사가 계약에 따라 1억 원 중 5천만 원을 지급했다면, 이 5천만 원이 지출액입니다.

3. 원인행위액과 지출액의 차이

구분원인행위액지출액

의미 법적 의무 또는 계약에 의해 발생한 금액 실제로 지급된 금액
발생 시점 계약 체결, 발주, 구매 요청 등 의무가 발생한 시점 돈이 실제로 지출된 시점
기준 발생주의(Accrual Basis) 현금주의(Cash Basis)
현금 흐름 반영 여부 반영되지 않을 수 있음 현금 흐름이 발생
예시 물품 구매 계약 체결 (1억 원) 계약 대금 중 일부 지급 (5천만 원)

4. 추가 고려 사항

  • 차이 발생 이유:
    원인행위액과 지출액 간의 차이는 계약 조건, 납품 일정, 결제 조건 등에 따라 발생합니다. 예를 들어,
    • 할부 또는 분할 지급 계약에서는 원인행위액은 전체 계약 금액, 지출액은 분할된 지급액이 됩니다.
    • 물품이 납품되었지만 대금 지급이 연기된 경우, 지출액이 원인행위액보다 작아집니다.
  • 활용:
    • 원인행위액은 예산 관리 및 계획 수립에 중요하며, 재무제표 작성에서 발생주의 회계 기준으로 기록됩니다.
    • 지출액은 현금 흐름 관리 및 실제 재정 상황을 반영하는 데 유용합니다.
반응형